📰 "굿바이, 이프랜드"…SKT, 4년만에 메타버스 사업 철수
이용자 급감에 사업 포기 결정
내년 3월 종료일까지 전액 환불
통신업계 '신사업 잔혹사' 우려
SK텔레콤이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운영을 내년 3월 종료한다. 사업에 진출한 후 약 4년 만이다. 한때 통신업계에서 주목받던 메타버스 신사업이 한계에 부딪힌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SK텔레콤은 이프랜드를 내년 3월 31일까지만 운영한다고 16일 발표했다. 신사업으로 야심 차게 내놨던 메타버스 플랫폼이지만 올해 들어 성장세가 확연히 꺾인 데 따른 결정으로 전해졌다. SK텔레콤은 종료일까지 유료 구매 아이템을 전액 환불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메타버스 사업에 투입한 인력과 비용 상당 부분은 인공지능(AI) 사업으로 전환한다. SK텔레콤 측은 “이프랜드를 운영하면서 축적한 3차원(3D) 이머시브 콘텐츠 제작이나 글로벌 서비스 운영 노하우는 추후 AI 사업에서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가 메타버스 사업에 진출한 것은 2021년 7월 이프랜드를 출시하면서다. 2022년 11월엔 베트남 등 49개국에 서비스를 확대했다. 글로벌 최대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의 동남아시아판을 만든다는 목표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은 눈에 띄게 나빠졌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이프랜드의 지난달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3만4124명에 그쳤다. 지난해 1분기 118만3056명, 올 1분기 59만8631명 등 갈수록 MAU는 쪼그라들었다. 수천 명이 동시에 입장할 수 있는 대규모 메타버스 공연장을 도입하겠다던 계획도 무기한 연기됐다. 이프랜드 사업을 주도하던 양맹석 메타버스사업담당 부사장도 지난 5일 SK스토아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
업계에선 국내 통신사의 ‘신사업 잔혹사(史)’가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통신사는 때마다 특정 분야가 주목받으면 ‘일단 해보자’는 식으로 뛰어들었다가 2~3년 뒤 철수하는 행태가 흔하다는 지적이다. 모바일 메신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메타버스도 마찬가지다. KT는 지난 4월, 8월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라운지’와 ‘지니버스’를 각각 종료했다. LG유플러스가 추진 중인 기업용 메타버스 ‘메타슬랩’ 출시도 지연되고 있다.
네이버제트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역시 사업 확장이 녹록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앱 시장조사 서비스인 앱매직에 따르면 제페토의 전 세계 앱 매출 순위는 지난달 865위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582위)과 비교하면 283계단 내렸다.
✍ 정리
SK텔레콤이 4년간 운영해 온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를 내년 3월 종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메타버스 시장에서 성장세 둔화와 이용자 감소를 이유로 사업 철수를 발표하면서 통신사들의 신사업 실패 사례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이프랜드 서비스 종료
- 종료 시점: 2024년 3월 31일
- 이유: 이용자 수 급감 및 성장 한계
- 대책: 유료 아이템 전액 환불
2. 인력 및 기술 전환
- 메타버스 사업의 인력과 비용을 AI 사업으로 전환
- 3D 콘텐츠 제작 및 글로벌 서비스 운영 노하우를 AI 서비스에 활용 예정
3. 메타버스 성장 한계
- 월간 활성 이용자(MAU): 2023년 11월에는 13만 명, 2022년 초에는 118만 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
- 메타버스 공연장 도입 계획 무기한 연기
4. 국내 통신사 신사업 한계
- KT: ‘메타라운지’와 ‘지니버스’ 종료 (2023년 4월, 8월)
- LG유플러스: 기업용 메타버스 ‘메타슬랩’ 출시 지연
- 네이버 제트의 ‘제페토’: 전 세계 앱 매출 순위 급락
5. 신사업 실패에 대한 우려
- 국내 통신사들이 새로운 시장에 진출했다가 몇 년 후 철수하는 ‘신사업 잔혹사’ 비판
🔍 추가 조사한 내용
에스터 (A*, Aster)
에스터는 SK텔레콤이 개발한 글로벌 AI 에이전트로, 단순한 질의응답과 검색을 넘어 계획 생성, 일정 관리, 문제 해결을 완결적으로 수행하는 Agentic AI를 지향합니다. 2024년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거쳐, 2025년 북미 시장 출시를 시작으로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특징
- 의도 명확화: 사용자와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요청의 목표와 세부 의도를 파악합니다.
- 할 일 목록 생성: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목록을 자동 생성하고 단계별 실행 계획을 제공합니다.
- Sub-agent 연계: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Sub-agent와 유기적으로 연동합니다.
2. 핵심 가치
- 쉽고 간편한 계획 수립 (Planning Made Easy): 복잡한 요청도 단순화해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합니다.
- 빈틈없이 꼼꼼한 관리 (Never Drop the ball): 작업 단계별 관리로 누락 없이 철저한 실행을 지원합니다.
- 신속한 응답 (Timely Answer): 사용자의 요구에 즉각적이고 정확한 답변과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3. 에스터(A*)의 의미
에스터는 사람들의 일상을 안내하는 동반자로서, 다음 세 가지 핵심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별표(Asterisk): 중요한 일이나 항목을 강조하고 체크하는 의미
- 안내자(Navigator): 사용자의 일상과 목표를 효율적으로 이끄는 동반자
- 확장과 연결 (Everything & Multiply):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별표(*)가 지닌 무한한 확장성과 연결의 의미
🔗 연관 링크
SKT, 글로벌향 AI 에이전트 ‘에스터(A*, Aster)’ 공개
💡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에스터(A)의 글로벌화와 기술적 차별화
에스터는 2025년 북미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 AI 에이전트입니다. 북미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한다고 했는데, 각 국가의 문화적·언어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현지화 전략과 Sub-agent 시스템을 설계하고 계신가요? 특히 북미 시장에서 에스터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은 무엇인가요?
2. 에스터(A)의 서비스 완결성 확보
에스터는 ‘계획 생성 → 일정 관리 → 실행’까지 완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Agentic AI를 지향합니다. 에스터의 서비스가 완결성을 갖추기 위해 어떤 파트너사나 앱과 연계 중인가요? 예를 들어, 숙박 예약, 쇼핑, 내비게이션 등 서비스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원활하게 연동되기 위한 협력 체계는 무엇인가요?
3. AI 사업과 통신사의 강점 활용
SKT는 통신사로서 광범위한 고객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에스터 개발에 SKT의 통신 데이터나 고객 서비스 경험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예를 들어, 통신 데이터 기반으로 사용자의 일정 추천이나 실시간 네트워크 최적화와 같은 차별화된 기능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