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방산 총출동 … 첨단 방공망 선보인다
IDEX 2025 17일 UAE서 개막
LIG넥스원·한화·기아 참가
최대 수출시장 중동서 존재감
LIG넥스원, 천궁Ⅱ 등 공개
한화는 장거리대공망 선봬
기아는 전술차·픽업트럭 전시
구본상·김동관도 현장 찾아
'K방산' 주요 업체들이 최대 방산 수출시장인 중동지역에서 개최된 방위산업 전시회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17~21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진행되는 '국제방위산업전시회(IDEX) 2025'에 한화그룹·LIG넥스원·기아·현대위아 등이 수출용 무기체계 등을 선보이며 마케팅에 나섰다.
한화그룹은 방위산업 부문을 이끌고 있는 김동관 부회장이 직접 참석했다. 글로벌 방위산업계 관계자와 만나 최근 개발에 성공한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체계(L-SAM)와 국산 엔진을 탑재한 K9 자주포 등을 수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김 부회장은 "중동은 최적의 경제협력 파트너"라며 "조선·해양, 우주, 에너지 영역 등으로 협력을 확대해 양국 안보는 물론 현지 경제발전에도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IDEX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중동·북아프리카 국가들의 주된 안보위협인 미사일 공격을 막아줄 요격 미사일 체계를 집중적으로 전시했다. 양사는 이날 "한국형 사드인 L-SAM과 한국형 아이언돔 장사정포 요격체계(LAMD) 그리고 한국형 패트리엇인 M-SAM을 구성하는 다기능 레이다와 유도탄, 발사대 등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형 '통합 다층 방공 솔루션' 핵심 기술을 UAE에서 선보였다"면서 "한국산 하늘의 방패에 중동이 러브콜을 보냈다"고 덧붙였다.
구본상 LIG넥스원 회장도 IDEX 현장에서 다양한 협업을 이끌어내고 있다. LIG넥스원은 "구본상 회장이 수십 년간 일궈온 현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K대공망 벨트' 구축에 나서고 있다"면서 "UAE 주요 방위산업체 고위급 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해왔다"고 전했다. 실제로 구 회장은 방위산업체 오너로서는 드물게 중동 방산 전시회에 각별한 관심을 보이며 매년 참석해왔다. 지난해 UAE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는 양국 비즈니스 포럼에서 방산기업인 가운데 유일하게 발표하기도 했다.
기아는 전시회에서 수송차량 3종(중형표준차(KMTV) 보닛형 베어섀시·소형전술차(KLTV) 2인승 카고·픽업트럭 타스만)을 공개했다. 기아의 중형표준차는 기존 2.5t, 5t 군용 표준차량을 대체해 상반기 우리 군에 공급될 예정이다.
현대위아는 차량에 탑재해 기동성을 크게 높인 '경량화 105㎜ 자주포'와 소형전술차량에 실을 수 있는 '81㎜ 박격포'의 모크업(mock-up)도 함께 전시했다. 특히 현대위아는 전술차량 기반의 미래형 무기체계 전시품도 공개했다. 차량 탑재형 대드론 통합방어 체계는 라이다와 광학장치를 통해 드론을 사격하는 무기체계다. 방위사업청은 정부홍보관과 중소기업관을 통합한 '통합한국관'을 운영한다.
✍ 정리
국내 주요 방산 기업들이 UAE에서 열린 국제방위산업전시회(IDEX) 2025에 참가해 첨단 방공망을 선보이며 수출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한화그룹, LIG넥스원, 기아, 현대위아 등이 참가해 미사일 요격 체계, 전술 차량, 자주포 등 다양한 무기체계를 공개하며 중동 시장 공략에 나섰다.
1️⃣ IDEX 2025 개막 및 참가 기업
- UAE 아부다비에서 2월 17~21일 개최
- 한화그룹, LIG넥스원, 기아, 현대위아 등 국내 주요 방산 업체 참가
2️⃣ 한화그룹
- 김동관 부회장 참석, 글로벌 방산 관계자들과 협력 논의
-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체계(L-SAM)와 K9 자주포 수출 방안 모색
- 한국형 방공 솔루션(L-SAM, LAMD, M-SAM) 전시
3️⃣ LIG넥스원
- 구본상 회장 직접 현장 방문, 중동 네트워크 활용한 협력 추진
- 'K대공망 벨트' 구축 목표
- UAE 주요 방산 업체 관계자들과 지속적 소통
4️⃣ 기아
- 군용 수송차량 3종(KMTV, KLTV, 타스만 픽업트럭) 전시
- 중형표준차는 올해 상반기 한국군 납품 예정
5️⃣ 현대위아
- 경량화 105mm 자주포, 81mm 박격포 전시
- 전술차량 기반 미래형 무기체계 공개
- 차량 탑재형 대드론 통합방어 체계 선보임
6️⃣ 정부 및 중소기업 지원
- 방위사업청, '통합한국관' 운영해 한국 방산 홍보 지원
🔍 추가 조사: 한화그룹 L-SAM
1️⃣ 한국형 3축 체계와 L-SAM의 역할
- 한국은 미국의 미사일 방어망(Missle Defense, MD)과 독립적으로 한국형 미사일 방어(Korean Air Missle Defense, KAMD) 체계를 구축
- KAMD는 킬 체인(Kill Chain), 대량응징보복(Korea Massice Punishment & Retaliation, KAPR) 과 함께 한국형 3축 체계를 구성하며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
- 기존 미사일 방어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L-SAM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다층 방어 체계를 구축하여 조기 탐지 및 원거리 요격 가능
2️⃣ 천궁-II과 L-SAM 비교
- 천궁-II(M-SAM): 고도 30km 이하의 탄도미사일 요격
- L-SAM: 고도 40~60km에서 탄도미사일 요격, 보다 빠르고 먼 거리에서 방어 가능
- 복합 다층 방어 개념을 도입하여 요격 실패 시에도 추가 방어 기회를 확보
- 미국의 패트리어트(PAC-3 MSE), 사드(THAAD) 와 마찬가지로 종말단계 방어체계에 속함
- L-SAM은 중거리 탄도미사일 이상을 요격할 수 있어 기존 천궁-II 대비 방어력 향상
3️⃣ L-SAM 기술력
- 적외선 영상 탐색기: 미사일의 열 신호를 감지하여 표적 탐색
- 위치자세제어장치(DACS): 공기 저항이 적은 고도에서 미세한 방향 조정 가능
- 전방 덮개: 요격 미사일의 탐색기를 마찰열로부터 보호
- 단 분리 장치: 요격체와 추진체를 적절한 타이밍에 분리하여 성공률 증가
- 이중 펄스형 추진기관: 연료 효율적 사용, 종말 속도 향상
- 직격 요격(Hit-To-Kill) 기술: 직접 충돌로 미사일 파괴
4️⃣ L-SAM의 탄도미사일 방어 프로세스
- 적 미사일 탐지: KAMD 작전센터(KAMDOC), 중앙방공통제소(MCRC)에서 정보를 분석
- 교전 통제: 다기능 레이더(MFR)가 적 미사일을 추적 후 요격 방식 결정
- 미사일 발사: L-SAM 발사, 대기권 상층으로 진입
- 탐색 및 추적: 탐색기가 목표물을 감지, 위치자세제어장치(DACS)로 정밀 조정
- 요격 및 파괴: 직격 요격(Hit-To-Kill) 방식으로 미사일 제거
🔗 연관 링크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중동 방산 시장과 한국의 전략적 포지셔닝
- 중동 시장에서 방공망 도입 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요소는 무엇인가요? (예: 기술적 성능, 가격 경쟁력,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성 등)
- L-SAM이 UAE 및 중동 국가의 기존 방공망(THAAD, Patriot PAC-3, Barak-8 등)과 실제로 연동 가능한가요? 아니면 독립 운용이 요구되나요?
- 한국형 방공망이 중동에서 경쟁국(미국, 프랑스, 이스라엘) 대비 가지는 기술적·운용적 우위 요소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 중동 국가들은 기술 이전(Technology Transfer) 및 현지 생산을 주요 조건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L-SAM 수출 협상에서 한국이 이를 어떻게 조율할 계획인가요?
- 한국의 방산 기업들이 중동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려면 무기 판매 외에도 추가적으로 제공해야 할 서비스나 협력 모델(예: 유지보수, 운영 지원, 훈련 등) 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2️⃣ L-SAM의 성능 및 기술적 한계와 발전 방향
- L-SAM이 고도 40~60km에서 요격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향후 더 높은 고도(80~100km)에서 요격할 수 있도록 개량될 가능성이 있나요?
- 현재 L-SAM의 속도는 마하 6+로 알려져 있지만 극초음속(마하 10+) 미사일 대응을 위해 추진체 기술(예: 이중펄스 추진, 램제트 엔진 적용 등)을 개선할 계획이 있나요?
- L-SAM은 적외선 탐색기와 AESA 다기능 레이더를 활용하는데 향후 레이더 탐색 성능 강화를 위해 능동·수동 복합 탐색 기술(Active-Passive Hybrid Seeker)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나요?
- 현재 L-SAM의 직격 요격(Hit-To-Kill) 방식은 표적 오차 ±cm 단위 정밀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보다 더 정밀한 추적을 위해 AI 기반의 자동 추적 및 요격 보정 시스템이 개발 중인지 궁금합니다.
- 최근 미사일 요격 체계에서는 전자기파(EW) 및 소프트킬(Soft-Kill) 대응 기술도 중요해지고 있는데 L-SAM이 레이더 교란, 스텔스 미사일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나요?
3️⃣ 실전 운용성과 전장 환경에서의 문제 해결 방안
- 중동 지역 특성상 고온·사막 환경(50°C 이상)에서의 L-SAM 성능 유지 및 냉각 시스템 최적화가 중요한데 실제 필드 테스트에서 문제 발생 가능성은 없었나요?
- L-SAM이 극초음속 탄도미사일 요격을 수행할 경우 기존 요격 미사일 대비 탄두 파편(Shrapnel)의 확산 범위와 피해 반경은 얼마나 차이가 나며, 작전 환경에서 어떤 변수를 고려해야 하나요?
- L-SAM은 단독 방어체계라기보다 다층 방공망의 일부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실제 작전 환경에서 천궁-II(M-SAM), 패트리어트(PAC-3)와의 데이터 링크 연동 및 교전 통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나요?
- 북한이 최근 초저고도 변칙 기동 탄도미사일(예: KN-23, KN-24 등)을 개발하고 있는데 L-SAM이 불규칙 궤도를 가진 미사일을 추적하고 요격할 수 있는 기술적 대응책이 있나요?
-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EMP 공격(전자기 펄스 공격)에 노출될 경우 L-SAM의 전자장비 및 레이더 시스템이 어느 정도까지 내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4️⃣ 수출 및 글로벌 방산 협력 관점에서의 L-SAM 발전 방향
- 현재 L-SAM은 단거리 및 중거리 탄도미사일 요격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향후 초장거리(100~150km) 요격 미사일 개발 계획이 있나요?
- 한국 방산 기업들이 중동뿐만 아니라 유럽·아시아 등 다른 시장에 L-SAM을 수출할 가능성이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가장 큰 도전 과제는 무엇인가요?
- 미국 및 NATO 국가들의 사드(THAAD) 및 이지스 탄도미사일 방어체계(Aegis BMD)와 연동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나요?
- L-SAM의 추후 업그레이드 버전에서 유도 방식이 현재 적외선(IR) 및 레이더 기반에서 다른 방식(예: 광학 유도, 위성 연동 유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한국이 최근 자체 군사위성을 발사하고 있는데 향후 L-SAM이 정찰 위성과 연동하여 목표 탐색 및 요격 정밀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5️⃣ 미래 방공망 및 첨단 국방 기술과의 연계 가능성
- 향후 L-SAM이 극초음속 위협뿐만 아니라 고출력 레이저 요격 시스템과 함께 운용될 가능성이 있나요? (예: 미국의 HELWS, 이스라엘의 IRON BEAM과 같은 레이저 방어 기술 도입 여부)
- 최근 AI 기반 자율 방어체계(예: AI 전투기, 드론 전투 시스템)가 발전하고 있는데 L-SAM 요격 시스템이 AI 기반 자동 표적 판별 및 요격 알고리즘을 적용할 계획이 있나요?
- 차세대 방공 체계로 우주 기반 요격체계(예: 위성 요격 시스템)나 레일건(고속 전자기포)과 같은 대체 기술과의 연계 가능성이 고려되고 있나요?
- 향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L-SAM의 성능 개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아니면 하드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인 구조인지 알고 싶습니다.
- L-SAM이 향후 우크라이나,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데 국제 시장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중장기적 전략은 무엇인가요?
'취준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서울 강남 누비는 '배달 로봇' (0) | 2025.02.26 |
---|---|
[전자신문] 현대차그룹, SW 브랜드 '플레오스' 공개…SDV 가속 (1) | 2025.02.25 |
[전자신문] 삼성전자·LG전자, 상업용 사이니지에 'AI 기반 타깃 광고' 새바람 (0) | 2025.02.19 |
[전자신문] 코난테크놀로지, 기업용 신규 AI솔루션 '코난 RAG-X' 선봬 (1) | 2025.02.18 |
[전자신문] NH농협은행, LG CNS와 생성형 AI 플랫폼 연내 구축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