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車·선박도 삼성 '스마트싱스'
한종희 부회장 "미래 100년 혁신"
현대차와 협업해 車 위치 찾고
삼성重 선박 운영시스템 한눈에
상반기 가정용 AI로봇 '볼리' 출시
삼성 홈AI 미래도 엿볼 수 있어
집에서 가족 모두가 외출하면 로봇청소기가 스스로 집안 청소를 시작하고 세탁기가 알아서 작동한다. 혹시 불을 켜놓고 나갔다면 자동으로 불이 꺼진다. 머리를 감은 후 말리다가 바닥에 머리카락이 떨어지면 로봇청소기가 알아서 치워준다. 삼성전자가 그리는 ‘홈AI(인공지능)’의 미래다.
삼성전자는 ‘CES 2025’ 개막을 하루 앞둔 6일(현지시간)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모두를 위한 AI: 경험과 혁신의 확장’을 주제로 초개인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홈AI 비전을 공개했다. 홈AI는 가족 구성원의 일상과 업무 등 상황, 패턴을 구분하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 공간 AI를 통해 집안 사물과 공간까지 분석해 고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게 핵심이다.
가전이 사용자 움직임을 파악해 명령이 없어도 필요할 때 와서 도움을 주는 식이다. 공간 AI 기반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 기술을 적용했다. 이 기술은 연결된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 패턴과 움직임, 주변 소리 등을 감지·분석해 상황에 맞춰 기기를 제어한다. AI 음성 비서인 빅스비를 업그레이드해 가족 구성원 목소리를 구별하는 건 기본이다. 발표에 나선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은 “삼성전자의 독보적인 홈AI 혁신을 집을 넘어 산업과 사회로 확장해 미래 100년까지 혁신 리더십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올 상반기엔 AI컴패니언 볼리를 공식 출시한다. 맞춤형 AI 경험을 추가로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AI 기반 ‘집사 로봇’인 볼리는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며 AI 가전을 컨트롤하고, 벽이나 바닥에 영상을 띄워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시각화해 보여준다.
연결성을 높인 데 따른 정보 유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보안 솔루션을 한층 강화했다. 삼성 녹스 매트릭스를 모바일과 TV는 물론 와이파이가 적용된 가전 전 제품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비밀번호, 생체정보 등 사용자의 민감 정보를 별도 보안 칩에 저장하는 삼성 녹스 볼트 기능을 모바일, TV를 넘어 패밀리허브 신제품 등 가전으로 확장한다. 더욱 향상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갤럭시 AI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 PC 기능을 모두 적용한 갤럭시 북5 프로(Pro)북360도 이날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자동차, 선박 등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는 스마트싱스 사례도 제시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협업해 차량 위치를 찾는 스마트싱스 파인드를 구현했다. 삼성중공업과는 선원들이 선박 운영시스템을 한눈에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선박용 스마트싱스 분야에서 협업했다.
✍ 정리
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홈AI 비전과 새로운 스마트싱스 기술을 발표하며 자동차와 선박 등 산업 전반으로 확장된 혁신을 강조했습니다. AI 기반 로봇 '볼리' 출시와 보안 기술 강화로 개인 맞춤형 AI 경험을 제공하고 현대차 및 삼성중공업과의 협업으로 스마트싱스의 활용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1. 홈AI 비전 공개
- 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 홈AI 기술을 발표
- 공간 AI와 스마트싱스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의 패턴과 환경을 분석, 맞춤형 AI 경험 제공
- 빅스비 음성 비서 업그레이드로 가족 구성원 목소리를 구별하는 기능 추가
2. AI컴패니언 로봇 ‘볼리’ 출시 예정
- 2025년 상반기 출시 예정
- 집안 곳곳에서 AI 가전을 제어하고,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
3. 보안 기술 강화
- 삼성 녹스 매트릭스와 녹스 볼트 기능을 모바일, TV, 가전 전반으로 확대
- 민감 정보 보호를 위한 강화된 보안 솔루션 제공
4. 산업 확장 사례
-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차량 위치 추적 기술 '스마트싱스 파인드' 구현
- 삼성중공업과 협업해 선박 운영 시스템 관리를 지원하는 스마트싱스 기술 적용
5. 갤럭시 제품과의 융합
- AI 기반 갤럭시 AI와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PC 기능을 탑재한 갤럭시 북5 프로(Pro)북360 공개
🔍 추가 조사한 내용
삼성전자 Home AI
삼성전자의 Home AI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중심으로 가전 기기와 AI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생활과 필요에 맞춘 초개인화 맞춤형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가정 내 모든 기술과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더 스마트하고 편리한 일상을 제공합니다.
1. 공간 AI 기반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 (Spatial AI & SmartThings Ambient Sensing)
공간 AI (Spatial AI)를 통해 가정 내 공간과 사물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연결된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기기 사용 패턴, 움직임, 주변 소리 등을 감지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집안 정보 요약, 조치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알림, 상황에 맞는 기기 제어 제안 및 맞춤형 제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빅스비 (Bixby)
삼성전자의 음성 비서 빅스비(Bixby)는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별하여 각 개인에게 맞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3. AI 컴패니언 볼리(Baliie)
삼성전자의 AI 기반 로봇 볼리(Baliie)는 집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AI 가전 기기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합니다. 벽이나 바닥에 영상을 띄우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4. 보안 기술
삼성 녹스 매트릭스(Samsung Knox Matrix)는 블록체인 기술을 호라용해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모바일과 TV는 물론 와이파이가 탑재된 모든 가전 제품으로 확대 적용됩니다.
녹스 매트릭스 대시보드(Knox Matrix Dashboard)는 연결된 기기들을 한눈에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제공하고, 삼성 녹스 볼트(Samsung Knox Vault)는 PIN, 비밀번호, 생체정보 등 사용자의 민감 정보를 별도 보안 칩에 저장해 보호하며 이 역시 기존 모바일과 TV 뿐만 아니라 패밀리허브 신제품을 포함한 가전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
🔗 연관 링크
삼성전자, ‘Home AI’ 경험과 혁신 확장해 미래 AI 혁신 선도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Home AI의 초개인화 서비스와 사용자 행동 예측 기술의 한계 극복 방안
삼성전자의 Home AI가 공간 AI와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과 패턴을 학습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의 행동은 종종 예측 불가능하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외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삼성은 어떤 기술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고 있나요? 예를 들어, 외부 환경 변화(날씨, 에너지 사용량, 가족 구성원 변화 등)에 따른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추가적인 AI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를 통합하고 있나요?
2. AI 컴패니언 볼리(Ballie)의 다중 역할 확장 가능성
볼리는 현재 가전 기기 제어 및 시각적 정보 제공과 같은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향후 볼리가 집안에서 이동형 IoT 허브로 발전하거나 재난 상황(화재, 침입자 감지 등)에서 즉각적인 대응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이러한 기능 확장을 위해 어떤 새로운 센서 기술이나 AI 모델을 개발 중인가요?
3. 스마트싱스 기술의 크로스 플랫폼 통합 가능성
스마트싱스는 삼성 생태계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다양한 브랜드와 플랫폼의 IoT 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성은 스마트싱스와 경쟁 플랫폼(애플 홈키트, 구글 네스트, 아마존 알렉사 등) 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협업이나 기술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나요? 또한, 사용자가 삼성 제품 외의 기기를 더욱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혁신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취준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 AI가 커닝 딱 잡아낸다…新기술 쏟아낸 삼성 C랩 (0) | 2025.01.13 |
---|---|
[전자신문][CES 2025]질문하면 계획·실행까지…SKT AI 비서 '에스터' 3월 美 공략 (2) | 2025.01.09 |
[매일경제] AI센서가 호흡·심박 분석 실내 온도·습도 자동조절 (0) | 2025.01.07 |
[한국경제] 종이컵 구김없이 잡는 로봇 손…현대차 지원사격 있었다 (1) | 2025.01.06 |
[전자신문] LG전자, 'AI홈' 모빌리티 공간으로 확장 'MX 플랫폼' 공개 (1)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