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공백을 사이에 두고 입력
3.1 입력받아 계산 2
📌 [기본 개념] 공백을 사이에 두고 입력
✔ split() : 문자열을 특정 기준으로 잘라주는 함수
-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각 잘려나간 단위가 하나의 원소가 되어
해당 원소들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list를 만듭니다.
- input().split() 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받을 수 있습니다.
📌 [문제] 링크
📌 [풀이 및 코드]
[풀이]
📍 첫 번째 줄에 정수 a, 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지므로,
input().split()를 통해 공백을 기준으로 a와 b를 나누고 이를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arr로 받습니다.
📍 a와 b에 arr의 1번째 원소, 2번째 원소를 int()로 감싸서 각각 숫자형으로 넣어줍니다.
[코드]
arr = input().split()
a, b = int(arr[0]), int(arr[1])
print(a * b)
3.2 입력받아 계산 5
📌 [문제] 링크
📌 [풀이 및 코드]
[풀이]
📍 첫 번째 줄에 정수 a, 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지므로,
input().split()를 통해 공백으로 기준으로 a와 b를 나누고 이를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arr로 받습니다.
📍 a와 b에 arr의 1번째 원소, 2번째 원소를 int() 로 감싸서 각각 숫자형으로 넣어줍니다.
[코드]
arr = input().split()
a, b = int(arr[0]), int(arr[1])
print(a + b)
3.3 입력받은 값 교체하기
📌 [문제] 링크
📌 [풀이 및 코드]
[풀이]
📍 첫 번째 줄에 정수 a, 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지므로,
input().split() 를 통해 공백을 기준으로 a와 b를 나누고 이를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arr로 받습니다.
📍 a와 b에 arr의 1번째 원소, 2번째 원소를 int() 로 감싸서 각각 정수형으로 넣어줍니다.
[코드]
arr = input().split()
a, b = int(arr[0]), int(arr[1])
print(b, a)
3.4 입력받은 값과 합 출력
📌 [문제] 링크
📌 [풀이 및 코드]
[풀이]
📍 첫 번째 줄에 정수 a와 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지므로,
input().split() 를 통해 a와 b를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고 이를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arr로 받습니다.
📍 a와 b에 arr의 1번째 원소, 2번째 원소를 각각 int() 로 감싸서 숫자형으로 넣어줍니다.
[코드]
arr = input().split()
a, b = int(arr[0]), int(arr[1])
print(a, b, a + b)
'코딩테스트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트리 챌린지] [Novice Low] 2. 입출력 (5) - 문자, 문자열 출력 (0) | 2023.09.24 |
---|---|
[코드트리 챌린지] [Novice Low] 2. 입출력 (4) - 2개의 줄에 걸쳐 입력 (0) | 2023.09.23 |
[코드트리 챌린지] [Novice Low] 2. 입출력 (2) - 실수 입력 (0) | 2023.09.21 |
[코드트리 챌린지] [Novice Low] 2. 입출력 (1) - 정수 입력 (0) | 2023.09.20 |
[코드트리 챌린지] [Novice Low] 1. 출력 (8) - 변수값 동시에 복사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