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구글, '프로젝트 무한'으로 AI 최적화 XR 선보인다
삼성전자가 지난 22일(현지 시간) 개최한 갤럭시 언팩 2025에서는 갤럭시S25 외에도 소문의 확장현실(XR) 기기 ‘안드로이드 XR’, 프로젝트명 ‘무한(Moohan)’이 함께 공개됐다. 삼성전자와 구글·퀄컴이 함께해 인공지능(AI) 에이전트에 최적화한 형태의 XR 플랫폼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다.
김기환 삼성전자 MX사업부 이머시브 솔루션 개발팀장(부사장)은 언팩 직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안드로이드 XR 기기 개발 철학과 현황 등을 소개했다. 김 부사장은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은 삼성전자와 구글 양사 협업의 결정체"라며 “삼성전자는 하드웨어와 모바일 환경에 대한 전문성과 광범위한 갤럭시 생태계를 바탕으로 실감나는 XR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안드로이드 XR 기기 개발은 2023년 초 갤럭시 언팩 2023에서 처음 소개된 것이다. 당시 언팩 무대에는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과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최고경영자(CEO), 히로시 록하이머 구글 수석부사장이 함께 등장해 XR 생태계 구축 협업에 착수했음을 알렸다.
이후 퀄컴은 지난해 9월 헤드셋 형태 외 스마트글래스도 함께 개발중임을 알렸다. 지난해 12월에는 삼성전자와 구글이 미 뉴욕에서 'XR 언락(Unlocked)' 행사를 열고 XR 전용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어 올 1월 언팩 현장에서 실 기기를 전시하는 데 이른 것이다. 김 부사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넘어 OS, AI 모델, 단말기, 콘텐츠와 서비스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협업은 매우 이례적인 형태"라며 “삼성전자와 구글이 갤럭시 워치 시리즈를 위해 플랫폼 단계부터 함께한 '웨어(Wear) OS'처럼 안드로이드 XR도 또 하나의 성공 사례가 될 것”이라고 했다.
현장에서 접해본 안드로이드 XR 기기, 프로젝트 무한의 외관은 애플 비전 프로를 연상시키지만 더 가볍다. 시야가 완전히 차단되는 비전 프로와 달리 하단부는 개방돼 있어 머리에 써도 시야 아래부분은 눈에 들어온다. 실기를 작동시켜 볼 수는 없었으나 최소 8개의 카메라와 수많은 센서가 장착돼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연 영상에서는 구글 생성형 AI 제미나이 라이브와 구글 앱들을 연계한 유연한 사용 사례가 제시됐다. FC 바르셀로나의 축구 경기 결과에서 시작해 유튜브로 경기 영상을 찾아보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홈구장을 구글 스트리트뷰로 찾아보는 과정이 AI 비서와 대화만으로 이뤄지는 식이다. 김 부사장은 “시선 추적, 제스처 등 기존 XR 입력 방식에 더해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탑재해 사용자와 XR 기기 사이의 상호작용 방식을 혁신했다”며 “플랫폼에 통합된 구글 제미나이와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를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글 생태계에 기반하는 만큼 확장성이 높다는 점 또한 긍정 요소다. 구글과 삼성전자 앱이 XR헤드셋에 최적화해 제공될 뿐 아니라 기존 안드로이드 앱의 XR 기기 내 구동도 자연스럽게 연결될 전망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이기에 기존 모바일에서 XR로의 개발 전환이 쉽다는 장점도 있다. 오픈XR, 유니티 엔진 등 개방형 개발 생태계도 이를 뒷받침한다.
헤드셋 기기 프로젝트 무한은 연내 출시가 목표다. 삼성전자와 구글은 헤드셋을 시작으로 글래스 등으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김 부사장은 “디스플레이, 센서, 카메라 등 최신 기술로 가장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판단해 헤드셋 형태를 우선 개발했다”며 “프로젝트 무한을 시작으로 헤드셋과 글래스 등 다양한 폼팩터 별로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 정리
삼성전자가 구글, 퀄컴과 협력하여 AI 최적화 확장현실(XR) 기기 ‘안드로이드 XR’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프로젝트 무한’으로 공개했다. 이번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실 기기를 선보였으며 이 기기는 구글 생태계를 기반으로 AI와 XR 기술을 결합해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며 향후 XR 생태계를 확장할 계획이다.
1. 안드로이드 XR 기기 공개
- 삼성전자, 구글, 퀄컴이 협력한 XR 기기 ‘안드로이드 XR’ 공개
- 갤럭시 언팩 2025에서 실 기기 선보임
- 프로젝트명은 ‘무한(Moohan)’
2. 협업 배경 및 개발 과정
- 2023년 갤럭시 언팩에서 최초 언급
- 삼성전자: 하드웨어 및 모바일 환경 기술 지원
- 구글: XR 전용 OS(안드로이드 XR) 개발
- 퀄컴: 스마트글래스 등 다양한 폼팩터 연구
3. 제품 특징
- 애플 비전 프로와 유사하지만 더 가벼운 디자인
- 하단부 개방형 구조로 주변 시야 확보
- 최소 8개의 카메라 및 다양한 센서 탑재
4. AI 및 소프트웨어 통합
- 구글 제미나이 AI 연계로 자연어 기반 인터페이스 제공
- 음성 및 시선 추적, 제스처 인식 기능 포함
- 안드로이드 앱과의 호환성 강점
5. 출시 계획 및 확장 방향
- 2025년 내 출시 목표
- 향후 헤드셋에서 스마트글래스로 확장 예정
- 오픈XR, 유니티 엔진 등 개방형 개발 생태계 활용
🔍 추가 조사한 내용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은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MR(Mixed Reality, 혼합현실)로 표현되는 다양한 가상현실 기술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물리적 현실 세계가 아닌 컴퓨터로 구현한 가상 세계에 완전히 몰입하도록 하는 기술
-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안경, 유리, 창문 등에 장착된 투명한 디스플레이 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비춰진 현실에 가상의 요소를 입히는 기술
- MR(Mixed Reality, 혼합현실): VR과 AR의 장점을 혼합해 현실과 소통하면서도 가상의 요소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
XR 산업 생태계의 주요 구성 요소
각 요소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소비자의 실감콘텐츠 이용 경험을 고도화 및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 경쟁력입니다.
- 디바이스(Device): 실감형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비
- 콘텐츠(Contents): 실감형 기술로 제작한 다양한 소비재 (게임, 영상, 기타)
- 플랫폼(Platform)
- 소프트웨어 플랫폼: 일반 사용자에게 XR 콘텐츠 제작 기능을 지원
- 서비스 플랫폼: 공급,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 통신 네트워크(Network):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환경 (5G 네트워크 등)
XR 디바이스 유형
1. 가상현실(VR)
- 모바일형: 삼성전자 기어(Gear), 구글 카드보드(Cardboard) 및 데이드림(Daydream)
- 콘솔/유선형: 미국 오큘러스(Oculus), 대만 HTC, 일본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 독립/무선형: 미국 메타 퀘스트, 중국 피코
2. 증강현실(AR)
- B2B 제품: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Hololens), 구글 AR 글라스
- B2C 제품: 메타, 엑스리얼
3. 혼합현실(MR)
- 메타 메타 퀘스트3, 애플 비전 프로
주요 기술 동향
1. 디스플레이 (Display)
- 시야각
- VR은 90 ~ 210도까지로 평균 110도의 시야각을 제공
- AR은 14.7 ~ 90도로 제품별 편차가 큼
- 해상도: 패널에 따라 HD 720p 또는 풀HD 1080p 수준까지 구현 가능
- 재생 빈도: LCD는 65Hz, OLED는 86Hz까지 개발됨
2. 트래킹 (Tracking)
- 몰입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생체 데이터를 추적하는 기술로, 센서, 비전 또는 이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추적 기술로 구성됨
- 6DoF(Degree of Freedom)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 요소기술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위치 추적 기술 개발됨
- 마이크로소프트: 추적 대상이 시야에서 벗어나도 트래킹을 유지할 수 있는 인사이드-아웃(Inside-Out) 트래킹 기술 연구개발
- 구글: 탱고(Tango) 프로젝트로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 3D 환경을 탐색 또는 공간 특징 파악이 가능한 비전 트래킹 기술 개발
3. 랜더링 (Rendering)
- 디스플레이에 고해상도 콘텐츠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 XR 실감형 콘텐츠를 높은 프레임 속도로 렌더링하기 위해 고사양의 그래픽카드가 주요 부품으로 활용됨
- 퀄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연구개발 진행
- 엔비디아: 다이렉트 모드 기술 및 리얼타임 처리 기술 개발
- AMD: 헤드트래킹 속도를 높이는 기술과 이미지 생성을 가속화하는 기술 개발
3. 상호작용 (Interaction)
- 상호작용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몰입형 콘텐츠의 인지, 지각, 입력, 조작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 아마존: 인공지능 알렉사(Alexa)의 음성 인터페이스 기술을 스마트 글라스에 적용
- 립 모션: 적외선 카메라 트래킹 기술 기반으로 사용자 손바닥 및 손가락 정보를 추적한 후 가상현실에 반영하는 동작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연관 링크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애플 비전 프로 대비 차별화 전략
- 프로젝트 무한의 XR 기기는 비전 프로보다 가볍고 하단부가 개방된 디자인을 채택했는데, 사용자의 착용 피로도를 줄이면서도 몰입감을 유지하기 위한 무게 중심 설계 및 균형 조정에서 어떤 엔지니어링적 혁신이 적용되었나요?
- 하단부 개방형 설계는 사용자의 주변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몰입도를 저하시킬 위험도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어떤 시각적 또는 인터페이스적 보완이 이루어졌나요?
- 애플은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개념을 XR 경험의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무한이 제공하는 XR 경험은 이와 어떻게 다르며, 삼성·구글·퀄컴이 공동으로 구현한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경험 프레임워크가 있나요?
2. AI 및 제미나이 모델 최적화
- 구글 제미나이 AI가 XR 환경에서 실시간 맥락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 추적 및 제스처 데이터를 AI가 분석하여 반응하는데 필요한 딥러닝 모델 구조 및 트레이닝 데이터의 주요 특성은 무엇인가요?
- 삼성전자의 기존 AI 기술과 구글 제미나이의 협업이 이루어진 방식은? (예: AI 연산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수행하는가, 혹은 디바이스 자체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는가?)
- 실시간 XR 환경에서 AI가 음성 및 시각적 입력을 동시에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동기화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기술적 최적화가 이루어졌나요?
3. 8개 이상의 카메라 및 센서 시스템 설계 원리
- 프로젝트 무한의 XR 기기가 최소 8개의 카메라와 다양한 센서를 탑재했다고 하는데, 각각의 센서 역할 및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기술적 시너지는 무엇인가요?
- 시선 추적(Eye-tracking) 및 손 제스처 인식 기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RGB 카메라 외에 적외선(IR) 센서 및 초음파 센서 같은 새로운 센서가 활용되었나요?
- 현실과 가상 공간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패스스루(Pass-through) 기능에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최적화 기법은 무엇인가요?
4. 배터리 및 발열 문제 해결 방안
- XR 기기는 일반적으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및 실시간 AI 연산으로 인한 발열 문제가 존재하는데, 프로젝트 무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냉각 기술(예: 열전도 소재, 공기 흐름 설계 등)을 채택했나요?
-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AI 모델이 연산을 수행할 때 저전력 모드 및 적응형 리프레시 레이트 같은 최적화 기술이 적용되었나요?
- XR 기기가 장시간 착용될 것을 고려할 때, 배터리의 무게 중심을 머리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나요?
5. XR 기기의 스마트폰 대체 가능성 및 미래 전망
- 현재 XR 기기는 스마트폰을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미래에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구글이 생각하는 XR 기기의 스마트폰 대체 가능성과 그 시기는 언제쯤이라고 예상하시나요?
- 향후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이 모바일 및 PC 환경과 크로스 플랫폼 통합 경험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나요?
- XR 기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기술적, 사회적 장벽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혁신을 준비 중인가요?
'취준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AI가 딥페이크 목소리 분간해 피싱 막는다 (1) | 2025.01.31 |
---|---|
[매일경제] 베어로보틱스 품은 LG전자 … 로봇사업 가속도 (1) | 2025.01.28 |
[전자신문] CJ올리브네트웍스, 워크플로우 통합 관리하는 '원플로우AI' 플랫폼 출시 (0) | 2025.01.22 |
[한국경제] LG CNS, 물류로봇 사업 도전장 (0) | 2025.01.21 |
[전자신문] AI로 바뀌는 게임 패러다임… 조력자 넘어 동반자로 (1)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