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네이버 웨일, AI 검색 도입 … 크롬에 도전장
📰 네이버 웨일, AI 검색 도입 … 크롬에 도전장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질문 입력하면 맞춤 답변
챗GPT·퍼플렉시티 등
타사 LLM 이용도 가능
서비스 다변화로 차별화
"국내 해돋이 명소 추천해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질문을 입력했더니 클로바X, 챗GPT, 퍼플렉시티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연결 탭이 뜬다. 클로바X를 고르자 AI가 '강릉 정동진, 포항 호미곶, 울산 간절곶' 등 주요 장소를 추천해준다. 최근 서비스를 고도화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의 사용 모습이다.
1일 네이버에 따르면 웨일은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이처럼 주소창 검색 엔진으로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등 AI 기능을 대거 추가했다. 웨일은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MS) 에지, 애플 사파리처럼 인터넷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로, 네이버가 2017년 처음 선보였다.
업데이트된 기능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이용자가 인터넷 주소창 검색 엔진에 질문을 입력하면 여러 AI 서비스를 연동해 검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주소창 아래에 뜨는 연결 탭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된다. 네이버 자체 서비스인 클로바X뿐만 아니라 오픈AI 챗GPT, 앤스로픽 클로드, 퍼플렉시티 등 많은 이용자가 사용하는 해외 빅테크 서비스도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최대 6개(모바일은 4개)의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 각 질문·검색마다 물어보고 싶은 AI 서비스를 선택해 연결하면 된다.
웨일에서 번역, 이메일, 웹툰 등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인 사이드바에 '클로바X'를 설치해서 쓸 수 있도록 한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다. 네이버 관계자는 "최근 AI 기능을 이용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웨일 브라우저에서도 AI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 기능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아직 국내에서 점유율이 높지 않은 웨일이 AI 편의 기능을 보강해 이용자 늘리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웹트래픽 분석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시장에서 웨일 브라우저의 점유율은 9.6%로 4위에 머무르고 있다. 크롬이 54.1%로 압도적 1위를 지키는 가운데 삼성 인터넷(14.8%)과 사파리(11.6%)가 뒤를 쫓고 있다. 에지는 7.9%로 5위다. 크롬, 에지 등은 이미 AI 기능을 탑재해 서비스하고 있다. 크롬도 웨일처럼 주소창 검색을 구글의 AI인 '제미나이'와 연동해 곧바로 제미나이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에지는 MS 코파일럿을 화면 사이드 패널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용자는 에지를 이용할 때 MS 코파일럿을 호출해 웹페이지를 요약하거나 글의 초안을 작성해주는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삼성과 애플은 각각 '갤럭시 AI'와 '애플 인텔리전스'를 자사 브라우저에 결합해 페이지 요약 기능을 제공한다.
웨일은 AI 지원이 상대적으로 늦었으나, 클로바X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많이 쓰는 타사 AI 서비스까지 연동할 수 있게끔 함으로써 범용성 측면에서 차별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AI 검색 도입은 향후 웨일이 계획하는 글로벌 진출에도 힘이 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웨일 글로벌 버전을 개발해 해외 진출을 준비 중이나 구체적인 시기는 미정인 상태다. 네이버 관계자는 "현지화 전략, 해외 서비스 정책 등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 정리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가 주소창을 통해 클로바X, 챗GPT, 퍼플렉시티 등 다양한 AI 검색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국내 점유율이 낮은 웨일은 이번 AI 업데이트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도 준비 중이다.
1. 주요 기능 업데이트
- 주소창에 질문을 입력하면 클로바X, 챗GPT 등 다양한 AI 서비스와 연동 가능
- 한 번에 최대 6개(모바일은 4개)의 AI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사이드바에서 클로바X를 설치해 번역, 이메일, 웹툰 등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 가능
2. 시장 상황과 경쟁
- 국내 브라우저 점유율: 웨일 9.6%로 4위(크롬 54.1%, 삼성 인터넷 14.8%, 사파리 11.6%)
- 크롬, 에지, 삼성, 애플 등 주요 브라우저도 AI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 웨일은 타사 AI 서비스와의 연동으로 범용성과 차별화를 도모
3. 글로벌 진출 준비
- 웨일 글로벌 버전 개발 중
- 현지화 전략 및 해외 서비스 정책을 검토 중
4. 향후 전망
- AI 편의 기능을 통해 국내 점유율 확장 및 해외 시장 경쟁력 강화 목표
- 네이버의 AI 생태계와의 연계를 통한 기술 고도화 기대
🔍 추가 조사한 내용
클로바 X (CLOVA X)
네이버의 클로바 X(CLOVA X)는 초대규모 언어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연동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한국어에 특화된 모델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이미지 대화
-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화 가능
- 텍스트로 표현하기 어려운 정보를 이미지로 입력하여 대화를 더욱 풍부하게 만듦
2. 에이전트 기능
- 정보 탐색 도우미: 특정 주제에서 전문적이고 신속한 답변 제공
- 복잡한 요청을 처리하여 생산성을 높임.
- 문서 이해 도우미: 업로드한 문서를 기반으로 요약, 정보 검색, 글 작성, 아이디어 제안 등을 수행
- AI 지우개: 문서 내용을 간소화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기능
3. 스킬 기능
- 사용자 요구에 맞춰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며,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 가능
- 네이버 쇼핑: 상품 추천
- 네이버 여행: 여행지, 숙소 추천
- 쏘카: 차량 대여 추천
- 트리플: 여행 일정 자동 계획
- 컬리: 다양한 상품 추천
- 원티드: 직무와 경력에 맞는 채용 공고 추천
4. 디스커버리 기능
- 대화 내용을 저장하여 나중에 다시 볼 수 있음
- 대화 하단에 있는 "디스커버리에 저장" 버튼을 통해 저장 가능
- 저장된 대화는 최대 50개까지 관리할 수 있으며, 상단 디스커버리 목록에서 확인 가능
🔗 참고 링크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멀티-AI 환경에서의 협력 및 갈등
웨일은 클로바X뿐 아니라 챗GPT, 퍼플렉시티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동시에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멀티-AI 환경에서 각 AI의 추천 결과나 응답이 충돌하거나 상충될 가능성을 어떻게 조율하고 있나요? 사용자가 각기 다른 AI의 답변을 비교해 신뢰성을 판단하도록 돕기 위한 기능이 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 문화적 맥락 이해와 AI의 한계
한국어에 특화된 클로바X는 한국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문화적, 정서적 맥락에서 여전히 오해나 단편적인 답변이 나올 수 있는 한계를 어떻게 보완하고 있나요? 특히, 감정적 또는 민감한 주제에 대해 AI의 응답이 문화적 정체성을 충분히 반영하도록 설계한 구체적인 방법론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3.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 전략
구글 크롬, MS 엣지 같은 경쟁사들도 AI 기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네이버 웨일만의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추진 중인 독창적인 기술 개발이나 연구 프로젝트가 있다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